- NetworkEdge(Host): 네트워크의 말단에서 망에 연결된 노드
- Access Link: wired와 wireless에 의해 연결되어 Edge 혹은 node 간에 연결해주는 선, Host 들을 연결해줌
- Network core: Router라는 기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서로 정보를 교환함
-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개별적인 개체가 의사소통을 하고자 할때 일정하게 정해진 사전 포맷 / EX) TCP connection request 전송후 Response로 받고 기본적인 감도 확인이후 Get http://~를 통해 원하는 용건을 말하고 상대는 그에 해당하는 File이라 응답을 줌... http, TCP, FTP..등등 모두 Protocal의 P이다.
- NetWork core에 있는 Router들은 서로간에 Packets단위로 일을 처리하고 서로 Packet(통신시에 기본적인 전송단위)을 나누면서 통신하는것을 "Packet-switching"이라고 한다.
- Router의 기능1: forwarding = Router 내부에 Forwarding Table이 존재하고 Forwarding Table은 패킷의 목적지에 따라 올바른 방향으로 신호를 보내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Router은 Packet을 수신하면 Forwarding Table을 참조하여 송신 방향을 정하게 된다.
- 그럼 Forwarding Table은 어떻게 값을 채우는가? = 그 값을 채우는 행위를 Routing이라고 하며 다양한 Routing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 Forwarding: 일련의 packet이 나열되어 있으면 온전하게 들어올때까지 저장을 한다. -> 그때서야 Forwarding을 하게된다.
- 이때 생기는 온전히 들어올때까지의 시간차를 Packet transmission delay라고 한다. (L/R) 그리고 이 과정 자체를 Store and forward라고 한다.
- 그래서 Transmission Delay를 줄이는 법은 Transmission Rate를 늘리는것이 가장 직관적이 방법이 될 수 있다.
- Packet이 온전하게 들어오지 못한 채 Router에 새로운 Packet이 들어와버리면 처치 곤란하다 그래서 Router에서는 Packet 데이터를 줄을 세운다 이를 Queueing이라고 한다.
- 이 때문에 Queueing이 쌓이면 쌓일수록 서비스의 속도는 당연하게 느려지게 된다.(지연)
- 그러다가 만약 들어오는 Packet의 양이 Routerd에 구비된 Buffer을 넘치게 되면 그뒤에 들어오는 Packet은 Loss하게 된다.
- 다른 Forwarding 정책 중 하나는 Circuit Switching이 있다.
- 대다수의 인터넷은 Packet Switching으로 동작을 하고 대표적으로 유선 전화망이 Curcuit Switching을 사용한다.
- Circuit Switching은 Host와 Host를 연결하는 인프라을 미리 배정하고 2개의 Host만을 위한 Circuit을 배정한다. 오직 2명만이 사용하기에 지연은 없다.
- 그럼 왜 인터넷은 Circuit Switching이 적절치 않은가 하면 만약 다양한 Host가 사용을 했을때 한개의 Router에 사용가능한 Host의 명수는 (Host Trans Speed / Router Trans Speed)가 된다. 하지만 이 Host들이 항상 사용하는거도 아니고 Host들이 점유한 Packet이 낭비가 된다.
'공부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논문 리뷰 1 (0) | 2021.03.15 |
---|---|
운영체제 2주차 - 3 (0) | 2021.03.09 |
운영체제 2주차 - 2 (0) | 2021.03.08 |
운영체제 2주차 - 1 (0) | 2021.03.08 |
운영체제 1주차 - 3 (0) | 2021.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