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학습

컴퓨터 네트워크 - Transport Layer

Multitab 2021. 4. 6. 16:37

Transport layer

application layer 바로 밑에 있는 계층으로 transport layer 관점에서는 logical End-End transport 단위로 그중간에 있는 과정은 관심이 없다.

app message를 Header과 Data로 이루어진 Segment에 저장된다.

TCP과 UDP로 크게 2가지가 있다.

network layer VS transport layer

network layer: 메세지를 목적지까지 전달해주는 계층

transport layer: 들어온 메세지를 기기의 여러가지 프로세스 중에 하나로 전달해주는 계층

transport layer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과정

![KakaoTalk_20210331_113954326](C:\Users\js774\Documents\카카오톡 받은 파일\KakaoTalk_20210331_113954326.jpg)

TCP vs UDP

  • TCP
    • 무결성이 보장되며, 보낸 순서대로 받을수 있도록 해준다.
    • 받는 사람의 눈치를 봐가면서 전송속도를 조절함(flow control)
  • UDP
    • TCP에서 지원하는 부수적인 기능 따윈 없음

Multiplexing & Demultiplexing

Demultiplexing: 들어온 network segment를 어느쪽 socket으로 보낼지 판단한는 것

여러개의 들어오는 패킷들을 어느쪽으로 보낼지 판단한는 기준 : port number와 IP주소를 가지고 Demultiplexing를 수행한다.

TCP Segment Vs UDP Datagram Header Format – IT Tips for Systems and Network  Administrators

Demultiflexing: socket과 binding된 소켓으로 보내는것 => port번호로 Demultiflexing을 수행한다.

Connectionless(UDP) demultiplexing

Connectionless인 이유: UDP를 이용해 불특정 다수의 신호를 받으므로 연결이 되어있지는 않다.주로 UDP에서 많이 쓰이는 방식으로 오직 목적지 포트 번호를 이용해 목적지를 구분한다.

Connection-oriented demultiplexing

오직 2개의 포트가 연결되어 이 둘끼리만 통신한다. 이 둘 왔다 갔다 하는데에는 TCP Socket에서 4-tuple이라는 자료를 이용해 서로간의 오고 갈수 있는 정보를 유지한다. 4-tuple에 있는 정보는 다음과 같다.

  • Source IP Address
  • Source Port Address
  • Destination IP Address
  • Destination Port Address

위 다음의 정보들이 하나라도 다를 경우, 모든 client들에 연결되는 Connection이 서로 달라진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효율에 극대화된 프로토콜로 UDP Segment는

  • "손실이 있을수 있고",
  • "delivered out of order"==전송된 순서가 바뀔수있다.
  • 단순하다
  • 가볍다.
  • 그래서 위 단점이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DNS, Streaming Service, Voice에 사용된다.

UDP 프로토콜 구동 과정

UDP 프로토콜 Segment Header

KakaoTalk_20210406_114126823 - 복사본

Reliable data transfer

데이터 전송시, 데이터 손실도 순서도 바뀌지 않는 채널이다. 하지만 현실은 unraliable한 채널 위에서 raliable을 보장해야 한다.

어떻게? 일단 다음과 같은 상황이라 가정하자

  1. Sender, Receiver side의 Reliable Data Transfer (RDT protocol)에 대해 다룬다.
  2. 단방향 통신만을 생각할것
  3. 특정한 송수신기, finite state machine(FSM)를 사용한다 가정한다.

rdt 1.0

Reliable transfer over a reliable channel

채널 자체가 reliable하다고 보장이되는 채널이라면 bit error가, pacjet이 loss되지도 않는다.

rdt 2.0

Channel with bit error

  • Error checking mechanism이 필요함
  • Sign에 대한 Feedback이 필요함(Acks, Naks)

Error detection 을 위한 Checksum

  • Acknowledgements: 신호가 잘 들어오고 있어!
  • Negative Acknowledgements: 신호에 오류가 있어! => 다시 보내줘(Retransmission)

FSM specification's fatal flaw

  1. 만약 feedback(ACKs, NAKs)에 Error가 발생한다면?

=>그래서 긱 packet마다 sequence number를 붙혀주어서 수신되는 ACKs, NAKs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Handling duplication이라고 한다. 그래서 들어온 패킷의 seqence number를 보고 이 packet이 retransmit된 데이터인지 최초로 들어온 데이터인지 확인하며 다음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즉, sender는 packet이 정상적으로 전송 될때까지 계속 retransmit하는 샘이다.

이때 seqence number는 앞뒤가 같은지 다른지만 알면 됩으로 1bit짜리 0,1로 구분한다.

rdt 2.2

  • rdt2.1에서 사용된 ACKs, NAKs 중 ACKs만 사용하는 방법
  • NAK대신에 가장 최근에 받은 packet의 ACK number를 같이 보내줌으로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rdt 3.0

error와 packet loss가 모두 발생 가능한 경우

  • timer를 동원한다. sender 측에서 전송을 하고 일정시간동안 reciever쪽에서 feedback이 안오면 재전송하도록한다.
  • 만약, 판단기준 time이 너무 짧다면? 대응 속도는 빠르지만 유실이 아닌데 유실 취급당하는 일이 생길것이고
  • 반대로 너무 길다면 유실에 대한 대응이 너무 늦을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적당한 시간 설정을 해야한다.
  • 단점은, stop과 wait을 시간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utilization이 굉장히 낮다.
  • 그래서 pipelining을 통해 한번에 여러개의 packet을 보내게 된다.
  • TCP Utilization = (L/R) / (RTT +(L/R))

TCP

TCP의 특징

  • Point to Point방식의 통신
  • Reliable, message boundairy가 아닌 in order byte 방식임
  • 양방향 통신(bu-directional data flow)
  • Pipeline
  • cumulative ACKs: Sequence number를 축적해가면 쌓아 올리는 방식이다.
TCP Protocol Segment Structure

다음처럼 UDP에 비해 굉장히 복잡한데 주요한 항목을 설명하면

  • Source Port, destniantion Port: 기본적인 Multiplexing을 지원하기 위한 기본 항목이다.

  • Sequence number: App data의 첫 byte를 해당 Sequence의 고유 번호로 사용한다.

  • Acknowledgement number: Packet을 잘 주고 받은 패킷의 개수를 누적하여 송수신을 확인한다.

  • Review window: 나중에 배울 flow control을 파악하기 위한 Data를 저장한다.

  • Check sum: error check를 위한 데이터이다.

  • Out of order에 대하여 대응하기 위해 각 Socket은 고유의 recieve Buffer를 가지고 있어거 들어온 Acknowledgement number 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순서대로 내보내게 된다.

TCP Senario

위와 같이 Host A와 Host B는 서로 필요한 Packet을 주고 받으면서 통신을 이어나가게된다.

  1. 각 Socket은 OS내부에서 Send Buffer와 Revicve Buffer 를 할당하게 된다.
  2. Send Buffer에서 Host A가 최초의 패킷을 전송하고 Host B의 Recive Buffer도착한다. Host B의 Recive Buffer는 Sequence number 순서대로 정렬해준다.
  3. 그때까지 Host A는 Packet loss에 대비해 다시 보낼수도 있기에 Host B에서 ACK신호가 올때까지 기다린다. 그러다 오면 삭제한다.
  4. 해당 과정을 반복한다.

결국 Socket과 Socket간에 자원 배정이 되는 셈이다.

flow control

  • recive buffer에 여유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 sender 쪽에 수시로 알려주면 sender가 receiver가 얼마나 여유가 있는지 알수 있지 않을까??
    • 그래서 수시로 TCP Header에는 reciver에 여유 공간이 얼마나 있는지 알려줄수 있는 항목이 있다.
    • 상대 recive Buffer가 over flow되지 않도록 동적으로 조절해준다.
    • 상대 recive Buffer가 크다 => 원활히 처리되고 있다 =>sender의 window size를 조절해준다.
  • 문제는 만약 B의 recieve buffer가 0이라서 교착된 상황이다. 그리고 B는 A에게 보내줄게 없다. 그러면 이상황에서 B의 recieve buffer에 여유공간이 생기더라도 B의 send buffer를 통해 A에게 여유공간이 생겼다는 사실을 알려줄 방법이 없다. => Deadlock
    • 그래서 A가 B의 recieve buffer가 0이라고 알고 있다면 1byte짜리 probe packet을 주기적으로 보내서 B가 Ack신호를 다시 보내게 만들어서 A가 B의 Rcevie buffer size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 그러면 Segment의 크기는 어떻게 결정할까?
    • 만약 segment에 딸려오는 Data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앞에 붙는 header때문에 배보다 배꼽이 더 큰상황이 생긴다. 그래서 가능하면 딸려오는 Data의 크기 Segment의 크기를 잘 결정해야한다.
    • Silly window syndrome
      • Nagle's algorithm
        1. 가장 첫 데이터는 1바이트만 있더라도 TCP로 보낸다.
        2. 보낸 데이터가 다시 ACK가 오거나(네트워크 상황이 좋다 == 비효율적이어도 네트워크가 감당가능) / Maximum-segment size(MSS)의 크기만큼 데이터가 쌓일 떄까지 기다렸가 데이터를 보낸다.(네트워크 상황이 좋지 않다 == 한번에 가능한 많이 데이터를 보낸다.)
      • Reciever 입장에서도 Segament size를 결정한는데 개입한다.
        • Clark's solution
          • 작게 작게 여러번 받을바에는 1개의 MSS만큼의 segment가 들어갈 크기가 확보 되거나 / Buffer의 절반이 비어보리기 전까지는 recive Buffer의 크기를 0이라고 보내버린다.
          • Sender가 어느정도 크기가 모으고 나서 segment를 보내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 Delayed ACK
          • Sender를 받고 500ms 정도를 일부러 기다렸다가 ACK를 보낸다.
  • TCP Connection management
    • TCP Connection 이 연결되는 과정 = TCP 3-way handshake
      • Sender가 Reciver에게 SYNbit = 1와 최조의 seqence number=X를 보낸다.
      • Reciver도 Sender에게 SYNbit = 1과 Reciver->Sender 전용 Send Buffer의 최조의 seqence number=Y를 보낸다. 더불어 최초 신호에 대한 답장으로ACKbit=1과 ACKnum=X+1을 전송한다.
      • 그럼 반대로 Sender도 Reciver에게 ACKbit=1과 ACKnum=Y+1을 전송한다.
      • 최종적으로 TCP연결이 성립한다.
    • TCP Connection 이 해제되는 과정 = TCP 4-way handshake
      • Sender가 TCP연결을 해제하길 원한다.
      • Sender가 Reciver에게 FINbit = 1와 최조의 seqence number=X를 보낸다.
      • Reciver도 Sender에게 해제의사를 수락하는 의미로 ACKbit=1과 ACKnum=X+1을 전송한다.
      • Reciver도 자신의 소켓을 닫아야하기에 Sender 쪽에 FINbit = 1와 최조의 seqence number=Y를 보낸다.
      • Sender도 Reciver에게 해제의사를 수락하는 의미로 ACKbit=1과 ACKnum=Y+1을 전송한다.
      • Reciver는 Sender의 ACK를 받고 소켓을 폐쇄한다.
      • Sender는 Reciver의 특이사항(ACK패킷의 소실)이 없는지 segment 생존기한의 2배만큼 기다렸다가 반응이 없으면 소켓을 폐쇄한다.

Congestion Control

  • TCP상황에서는 네트워크 상황에 유동적으로 대처해야한다.
  • 이러한 혼잡제어를 통해 다뤄야할 현상은 Long Delay와 Packet loss이다.
  • 각 호스트가 네트워크 상황을 판단할 수있는 척도는 time out이든 3 duplicate ack든 Data를 retransmission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상황이 여의치 않음을 결정할수있다.
  • 그래서 모든 호스트는 개인적으로는 최대한 많은 Data을 자주자주 전송하면 좋지만 그렇게 한다면 모두가 피해를 존다. 그래서 모두를 위해 각자 stream speed를 조절해햐한다.
  • host가 네트워크 상황을 간접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data를 전송하고 ACK를 받아내는 delay를 통해 유추가능하다
  • 그리고 판단된 상황을 이용해 Sender의 window size를 결정한다. 앞에 flow control에서는 sender window를 rwnd로 설정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Congestion window size가 rwnd보다 작아지게 되면 Congestion window size를 실제 sender window size를 설정한다
  • Window size = MIN(rwnd, congestion window Size) // 일반적으로 rwnd는 거의 여유가 있기에 거의 congestion window Size가 반영된다.
  • AIMD(Additive Increase Multiplicate Decrease): 호스트들이 눈치보는 과정
    • sender를 보낼 때마다 congestion window Size를 1씩 증가 시킨다, 그러다가 어느순간 Data를 retransmission 해야할, 네트워크 과부화가 의심되는 현상이 생기면 congestion window Size를 절반으로 줄여버린다.
    • 그리고 다시 sender를 보낼 때마다 congestion window Size를 1씩 증가 시킨다. 이 과정을 반복한다.
  • 그럼 처음에는 데이터를 얼마나 보낼것인가 = TCP Slow start
    • 처음에는 1MSS를 보낸다.
    • 그뒤로 2배씩 증가시켜 보낸다
    • 그러다가 TCP의 고유 변수인 Slow Start threshold(ssthresh)만큼에 다달으면 선형적으로 1씩 증가시키며 패킷을 전송한다.
    • 그러다가 과부화가 생기면 ssthresh를 절반으로 줄인다. 이후..
      • TCP Tahoe 초기버전에서는 cwnd를 1부터 시작해서 새롭게 바뀐 ssthresh를 기준으로 같은 일을 반복한다.
      • TCP Reno에서는 Time out으로 인한 retransmit의 경우 1부터 시작해서 새롭게 바뀐 ssthresh를 기준으로 같은 일을 반복한다.
      • 한편 TCP Reno에서 3 duplicate ack으로 인한 retransmit의 경우 새롭게 바뀐 ssthresh 에서 부터 다시 시작하여 선형 증가 해서 패킷을 전송한다.
  • Time out으로 문제가 생기면 진짜 네트워크 상황이 개판이지만, 3 duplicate ack는 단일 패킷이 운이 않좋은 것이라고 생각할수 있다.
  • 이외 TCP CUBIC: 둥글게 좋은 크기를 오랬동안 유지하기 위한 방안
  • TCP fairness: Bottleneck 상황에서 없는 대역폭을 절반으로 나눠사용하는 방안

'공부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CH6(9주차) -1  (0) 2021.04.26
운영체제 6주차  (0) 2021.04.08
컴퓨터 네트워크 - Application Layer  (1) 2021.04.06
운영체제 4주차 - 2  (0) 2021.03.29
시스템프로그래밍 - 함수정리  (0) 2021.03.24